[편집국 칼럼] 군민의 상 ‘단독 수상’ 유감... 인물 넘쳐 났으면
[편집국 칼럼] 군민의 상 ‘단독 수상’ 유감... 인물 넘쳐 났으면
  • 백형모 기자
  • 승인 2023.10.10 11:3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장성군이 2023년 군민의 상 수상자로 정명호 전남대 의대 교수를 단독 후보로 확정, 5일 시상식을 가졌다. 수상을 거듭 축하드린다. 특히 장성과 전혀 연고가 없는 분이 수상하게 된데 대해 뜨거운 박수를 보낸다.

‘장성군민의 상’은 장성 발전을 위해 노력하고 공헌한 사람들에게 주어지는 아주 상징적이고 영광스런 상이다. 장성 출신 여부와 무관하게 장성을 사랑하는 마음으로, 장성 미래발전에 이바지하는 사람들에게 주어지는 영예이기 때문이다.

이번에 수상한 정명호 교수는 2007년 정부를 향해 호남 지역에 심혈관계통의 국립 의료시설이 꼭 필요하다는 주장을 펼친 뒤 16년 동안 꾸준히 장성을 최적지라고 강조하며 정부 부처를 뛰어다니고 관계자들을 만나 마침내 국립심뇌혈관연구소 장성 설립을 이끌어 낸 ‘의지의 호남인’이이라고 할 수 있다. 장성군 출신도 아니고 장성과 아무런 지역적 연고가 없지만 장성을 위해 그가 남긴 발자취를 상기한다면 실로 위대한 업적이라고 하지 않을 수 없다. 그동안 여러 관계자 분들의 땀과 열정이 투자된 것이기는 하지만, 그가 없었다면 장성의 국립심뇌혈관연구소 설립은 꿈도 꿀 수 없었다고 할 수 있다.

그런데 군민의 상 ‘단독 수상’을 바라보며 아쉬움을 감출 수 없다. 장성 군민의 상은 교육문화예술, 사회복지체육, 향토방위, 산업경제, 농업부문 등 5개 분야에서 후보자를 추천, 접수받았다. 접수 결과 각 분야에서 1명씩, 사회복지체육 분야는 3명이 추천됐다. 심사 결과, 수상자는 단 한 사람이었다. 나머지 분야는 적격자가 없었다.

군민의 상이 가문의 영예이고 남으로부터 축하받을 일인데 어째서 한 사람 뿐이었을까?

추천된 나머지 사람들의 공적이 시원찮았다는 뜻도 되고, 심사위원들이 냉철히 잘 판단했다는 얘기도 된다. 또하나는 장성군이나 군수가 특정인을 지목하여 수상을 주장하지 않았다고 해석될 수도 있다.

어쨌건 한 사람 밖에 상 받을 사람이 없었다는 점에 대해선 긴 아쉬움이 남는다.

솔직히 군민의상 후보자에 여럿이 추천되어 조금이라도 더 훌륭한 사람을 고르는데 치열했다는 소식이 들려왔으면 얼마나 좋았을까?

바로 이 점에서 장성 스스로가 괜찮은 장성 사람 키우기나 인재 등용에 너무 인색하지 않았나 하는 안타까움을 지울 수 없다. 대표적으로 장성이 배타적이어서 장성 사람 아니면 장성에서 행세하기 어렵다는 얘기를 자주 듣는다. 장성에서 10년이나 20년을 살아도 장성 사람이라고 보지 않고, 여전히 남이라고 생각하는 풍토가 이를 말해준다.

장성 인구가 날로 줄어 지역 소멸시대가 눈앞에 도래하는데 언제까지 토박이 타령만 할 것인가?

인류 역사에는 인재 등용이 얼마나 큰 힘으로 작용했는지를 보여주는 사례가 있다.

혼돈의 중원을 차지하기 위해 전국 7웅이 다투던 춘추전국시대, 최초로 천하를 통일한 국가는 진나라였다. 진나라는 도량형과 화폐를 통일하고 수로를 정비하며 마차의 바퀴 크기를 통일했다. 진 나라는 중앙정부 주도의 군현제도를 완성하여 세계 각국이 오늘날까지 시행하고 있는 행정기틀을 만들었다.

진나라가 이렇게 개혁을 이끌어 초강대국이 될 수 있었던 요인은 목공의 파격적인 인재 등용 정책이었다. 목공은 한(漢)민족이 주류를 이루던 관직의 틀을 파격적으로 깨부수고 국적, 민족, 신분, 연령을 따지지 않고 인재를 모셔온다는 ‘사불문(四不問)’ 정책을 펼쳤다. 천민이나 서자 출신을 장수나 고위 관료로 발탁하기도 했고, 능력만 있다면 적국의 재상까지도 극진히 초빙했다. 인재등용에 일말의 차별도 두지 않았고 한 번 등용하면 그들을 끝까지 믿고 업무를 맡겼다. 진나라는 혁신적 인물 등용과 제도 도입으로 초 강력제국으로 성장할 수 있었다.

여기에서 파생한 유명한 격언이 바로 ‘태산불사토양고대(泰山不辭土壤故大) 즉 태산은 한 줌의 흙도 마다하지 않아 그렇게 높음을 이룰 수 있었으며, 하해불택세류고심(河海不擇細流故深) 즉 하해는 작은 샛강의 물줄기도 마다하지 않고 수용하여 저 깊음을 이룰 수 있었다’는 말이다.

천하를 통일하여 역사의 신기원을 이루려면 모든 것을 수용하고 아량을 베풀 정도 큰 그릇은 돼야 한다는 뜻이다.

너무 비약했는지 모르지만 동방의 손바닥 만한 대한민국 안의 장성 땅에, 이에 못지않은 담대한 아량의 지역 리더가 나오고, 지역사회는 좀 더 열린 마음으로 모두를 품에 안는 사회가 되기를 기대해 본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